Today
Total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4-20 13:34
관리 메뉴

‡‡ Rod of Asclepius ‡‡

신생아 황달에 대해서 본문

의학 & 과학

신생아 황달에 대해서

달의눈물 2007. 8. 20. 05:20
황달의 출현 시기에 따른 원인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날 수 있는 황달

흔한 원인 : erythroblastosis : ABO incompatibility, Rh incompatibility, Sepsis

드문 원인 : 감염, cytomegalic inclusion disease, toxoplasmosis, rubella, 간염

생후 2~3일에 나타나는 황달

흔한 원인 : 생리적 황달

드문 원인 : familial nonhemolytic icterus (Crigler Najjar 증후군)

3일 이후, 1주 내에 나타나는 황달

패혈증, 기타 감염(선천 매독, toxoplasmosis, cytomegalic inclusion disease)

내출혈(광범위한 ecchymosis, cephalhematoma)

1주 이후에 나타나는 황달

패혈증, 담도 폐쇄, 간염, galactosemia, 약물에 의한 용혈성 빈혈

모유 황달(breast milk jaundice)

생후 1개월 이상 지속되는 황달

Inspissated bile syndrome, 간염, 선천 매독, cytomegalic inclusion disease, 담도 폐쇄

toxoplasmosis, galactosemia, cretinism, pyloric stenosis, total parenteral nutrition

 

증상

- 얼굴에서 시작하여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복부, 발 까지 진행

- 얼굴 : 5mg/dL, 복부 중앙 – 12mg/dL, 발바닥 : 20mg/dL

 

신생아 황달의 감별 진단

- 검사 : 직접, 간접 빌리루빈, Coombs’ test, 혈색소, 망상 적혈구 수, 혈액형, 말초 혈액 도말 표본

 

생리적 황달


원인
태아 적혈구의 생존일이 성인 적혈구보다 짧음 생후 수일 동안 적혈구 파괴가 증가 (태아 80, 성인 120), 빌리루빈 포합 부전 – UDPG transferase 활성의 저하, UNPGA 생성의 감소, hepatocyte에 의한 bilirubin uptake 장애, enterohepatic circulation 증가


특징

만삭아의 50~60%, 미숙아의 80%에서 나타남. 생후 2~3일에 시작, 5mg/day 미만의 속도로 상승하여 2~4일 사이에 최고치인 5~6mg/dL의 값으로 증가하고, 5~7일 사이에 2mg/dL 이하로 감소하여 7~14일에 사라짐.
혈청 빌리루빈치는 10~12mg/dL를 넘지 않음. 미숙아에서는 약간 늦게 나타나 오래 지속될 수 있음.
간접 빌리루빈 증가 : 만삭아의 6~7%에서 12.9mg 이상, 3% 미만에서 15mg/dL 이상 상승하기도 함. 대변에서 빌리루빈(+), 소변에서는 (-) : indirect bilirubinemia의 특성

만삭아에서는 생후 약 10~14일 째에 간접 빌리루빈치가 성인치인 1mg/dl까지 감소

 

생리적 황달이 아닌 경우

- 생후 24-36시간 이내에 황달이 나타나는 경우

- 혈청 빌리루빈이 24시간 이내에 5mg/dL 이상 증가하는 경우

- 만삭아에서 혈중 빌리루빈이 12mg/dL, 미숙아에서는 10~14mg/dL 이상

황달이 생후 10~14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생후 시간에 관계없이 직접 빌리루빈이 2mg/dL 이상

 

모유 황달


발생 원인
: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니 모유에 함유된 glucuronidase가 원인일 가능성이 있음


임상 양상

모유 수유 중인 만삭아의 2%에서 생후 4~7일째부터 간접 빌리루빈이 증가하는 황달이 나타나, 생후 2~3주 정도에 혈청 빌리루빈 치가 최고 10~30mg/dL 까지 증가

핵황달은 잘 나타나지 않음

 

조치

모유를 1~2일간 중단하면 급격하게 황달이 없어지고, 다시 모유 수유를 시작하여도 고빌리루빈 혈증은 그전의 높은 수치까지 도달하지 않음

심한 경우 광선치료가 도움

 

조기 모유 황달
생후 첫 주에 나타남. 모유 수유가 충분치 않아 생긴 탈수나 칼로리 섭취 감소 때문에 발생 (모유 수유아 > 분유 수유아)


치료
출생 후 되도록 빨리 모유 수유를 시작하고 하루 10회 이상 모유 수유를 하며, 모자 동실을 시켜 밤에도 수유를 시키는 것이 도움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