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Total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01-04 08:02
관리 메뉴

‡‡ Rod of Asclepius ‡‡

산염기장애의 분석에 대해 본문

의학 & 과학

산염기장애의 분석에 대해

달의눈물 2007. 2. 7. 00:14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해리슨 16th.에 설명되어 있는 대사성/호흡성 산/알칼리 증을 구별하기 쉽게(?) 해 둔 표
하지만 왠지 이해하기가 힘들다 -_-;

그래서 다른 곳에서 본 그림을 직접 그려 보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 설명을 해 보자면, 기본적으로 대사성 산증/알칼리증은 처음에 HCO3-이온의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고, 호흡성 산증/알칼리증은 PCO2이온의 변동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것을 설명한 것이 왼쪽 그림이고, 중간 지점을 대략 PCO2 : 20, HCO3- : 25 로 설정해 두고, 이 지점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자.

먼저, 대사성 산도 변화의 보상작용은 호흡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는 개념으로 우측 그림을 보게 되면, 대사성 산증의 경우 호흡을 많이 해서 CO2 배출을 많이 하게 되면 PCO2가 감소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커브는 6시 방향을 가리키고 있던 것이 대각선 아랫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찬찬히 해석해 보면 모양을 이해하기 쉽다.) 마찬가지 작용에 의해 대사성 알칼리증의 커브는 대각선 윗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호흡성 산증이나 알칼리증의 보상은 대사적으로 발생하여 HCO3의 분비나 재흡수 정도에 따라서 산도가 변화하게 될 것이다. 다만, 호흡성 산증/알칼리증 일 경우, PCO2 HCO3-이온의 증가의 방향과 감소의 방향이 일치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대략적인 이온 수치를 표로 환산하여 대입을 해 보면 기본적, 혹은 보상된 대사성 / 호흡성 알칼리증/산증을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인 산-염기 장애의 분석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Primary disorder 결정 - metabolic인지, respiratory 인지
    ☞ blood PH, HCO3-  , PCO2 값을 이용

2. Compensatory response의 정도를 계산하여 Mixed acid-base disorder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 호흡성 산증에서 급성일 경우 HCO3- 가 1mEq 증가할 때마다 PCO2 는 10mmHg씩 증가하며,
        만성일 경우에는 HCO3- 4mEq 증가에 PCO2 10 mmHg 증가한다.

    ☞ 호흡성 알칼리증에서 급성일 경우 HCO3- 가 2mEq/L 감소함에 따라 PCO2 10mmHg 감소하며,
        만성일 경우에는 HCO3- 4mEq/L 감소에 따라 PCO2 10mmHg 감소한다.

    ☞ 대사성 산증에서는 PCO2 가 1.25mmHg 감소할 때마다 HCO3- 가 1mEq 감소한다.

    ☞ 대사성 알칼리증에서는  PCO2 가 0.75mmHg 증가할 때마다 HCO3- 가 1mEq 증가한다.

3. 음이온차(Anion Gap)를 계산한다.

4. 음이온차가 증가되었다면 HCO3-와 음이온차 증가량을 비교해 본다.
    ☞ HCO3- 감소량 = 음이온차 증가량 : simple high AG metabolic acidosis
    ☞ HCO3- 감소량 < 음이온차 증가량 : metabolic alkalosis 동반
    ☞ HCO3- 감소량 > 음이온차 증가량 : normal AG acidosis 동반

5. 환자의 임상 양상과 비교하여 확인한다.



각각의 산염기장애에 대해서는 나중에 시간이 날 때(?) 다뤄보도록 하겠다.


※ 참고
    음이온차 계산법 : Na+- (HCO3- + Cl-)
    정상치 : 12±4 mEq/L